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 서론

가드너는 지능의 종류를 아홉가지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라, 본론에서는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적 시사점을 이야기 할 것이다.

. 본론

지능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지적 능력이 나타나는 심리학적인 대표적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학업 성취에 격차가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능력 차이라고 받아드려지고 있으며, 이런 능력 구조에 대하여 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기초적인 연구로 인식이 되었다. 가드너는 다중지능이론을 총 9가지로 “언어적 지능, 논리와 수학적 지능, 신체 및 운동적 지능, 음악적 지능, 공간적 지능, 대인 관계적 지능, 개인내적 지능, 자연관찰 지능 그리고 실존 지능”으로 구분하였다.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하여 프로젝트 스펙트럼이라는 교육프로젝트 접근법은 42개월부터 59개월에 해당하는 아동의 다중지능을 발견하고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이며, 특정 상황들을 의미가 있도록 구성된 게임을 통해서 아동의 참여을 유도하고, 교육과정과 평가를 분리시키지 않음으로 평가를 정규 수업에 쉽게 통합시킨다. 또한, 논리나 언어 중심이 되지 않는 지능 영역을 일곱 가지로 공정하도록 평가를 하고, 아동이 지닌 장점을 살려줌으로 단점을 이겨 낼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한다.

2. 교육적 시사점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지능을 9가지로 구분하면서 지능 종류의 다양성을 제시하고, 각각의 지능들은 개별적으로 발달한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모든 지능이 발달한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내포한다. 즉, 개별학습과 재능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감성지능과 도덕지능 처럼 새로운 지능이론들이 출현하는데 가드너는 교육적 및 교육심리 부분에 기여를 하였고, 무엇보다 지능검사는 학생들의 다른 능력을 들어나도록 달라져야하고, 학교 교육은 학생들의 장점을 극대화하도록 노력하고 개선되어야 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보여준다.

. 결론

9가지로 구분되는 지능의 종류와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은, 지능의 다양성을 제시하였으며, 새로운 감성지능과 도덕지능 같은 지능이론들이 나타나도록 기여하였고, 학교 교육적으로 학생들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개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최신교육학개론 제3판 , 학지사, 2018

2021학년도 중등 교원임용 시험대비 이선화 교육학, 미래가치, 2020

Leave a Comment